당초에 프로축구는 국민건강, 여가활동에만 그쳤으나, 2002년 월드컵 4강 진출을 계기로 축구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주5일제 실시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 또한 국내 스포츠 산업의 성장에 낙관적인 전망과 고부가치를 누리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최근의 프로구단의 입장관중 및 구단운영의 적자기조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경남FC의 경우 2009년 12월경 영남권 축구센터 완공으로 영남권 뿐만 아니라 국내, 나아가 동북아시아를 아우르는 축구중심지의 역활을 수행하는 축구센터로 홈경기장 이전과 구단의 이미지변화, 새로운 스타선수 발굴, 유소년축구와의 연계, 합리적이고 투명한 경영을 통하여 재정 건정성과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경기장을 찾은 팬과 선수단 그리고 사무국이 소통을 통하여 명실상부한 명문클럽으로 도약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프런트, 선수단, 팬들이 삼위일체 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단 재정난 극복을 위해 긴축 재정집행 및 저비용 우수선수 영입, 고액연봉 제시를 거부하고 가능성 있는 선수에 대하여는 이적을 추진하는 등 이적료 수입을 통해 구단 자생력 강화에 기여하고, 360만 도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명문구단으로 자리매김 하도록 최선을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경남도민프로축구단는 프로구단이 활동하는 국내프로축구 무대에 2006년도 K-리그를 목표로 경남지역을 연고로 하는 프로축구단의 창단을 위하여 7,900만원의 자본금으로 설립된 신설회사입니다.
경남도민프로축구단는 경남지역을 연고로 하는 기업인과 도민들이 발기인이 되어 설립되었으며, 연고기업 및 도민들의 참여를 적극유도하여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도민구단을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경남도민프로축구단는 2006년 K-리그 14번째 구단으로 프로축구연맹의 협조와 경상남도 및 경남도민들, 그리고 지역 연고기업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지로 2005년 10월 27일부터 2005년 11월 21일까지 도민주를 공모하여 7,686백만원을 공모하여 자본금으로 전입하였으며, 동년 12월 유상증자 100백만원, 2006년 12월 525백만원, 2007년 10월 1,000백만원을 추가로 유상증자하여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최선의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경남도민프로축구단는 국내 기존 프로축구 구단들이 자생적으로 흑자경영을 하지 못하는 상황 하에서 도민구단이라는 장점과 적극적인 수익개발사업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흑자경영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나, 국내프로축구단의 입장관중수등 흑자여건이 어려운 현실을 감안, 조직의 슬림화등 경영혁신을 통한 경비절감, 광고후원수입의 극대화, 선수단 경기력 향상등 도민구단의 경영 안정기반 확보와 경남도내 각 시.군에서 홈경기 이전개최하여 전도민에서 즐거움을 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 영남권 축구센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공격적인 마케팅과 홍보로 지역사회 및 국내 프로축구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아울러 창원축구센터 주경기장내 메가스토어 개점하여각종 유니폼 판매등 구단 자생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고, 당초 사외이사 체제로 이사회를 구성하였으나, 전문 경영인 영입과 광고수입원 확보를 위해 재정이사 중심의 이사회를 구성하였고, 광고주와의 장기적인 파트너십 유지를 위해 경기장내 VIP라운지를 개설/운영하여 최고의 대우를 제공함과 더불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챌린지 강등 3년만에 1부로 승격, K리그1 복귀 후 준우승과 함께 시.도민구단 최초 리그성적만으로 ACL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또한 국내 프로구단 최초로 유소년 운영을 위한 독립 재단을 설립하여 경남FC의 우수한 인재 육성 뿐만 아니라 나아가 경남 도내 유소년 저변 확대 및 발전에도 큰기여를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스포츠 산업은 국민의 경제수준 및 여가생활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바, 우리나라의 경제가 IMF 이후 꾸준한 성장을 이어오고 있고, 주 5일제 근무의 도입에 따라 고도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2002월드컵 4강을 계기로 축구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고조된 상황과 최신 시설의 경기장 건립 및 2010년 남아공월드컵 16강 진출과 공시일 현재 2012 런던올림픽 축구에서 우리나라가 동메달 획득과 더불어 2012년 부터 승강제를 시행하므로서 더욱 업그레이드 된 축구경기를 제공하여 한국축구 뿐만아니라 한국 스포츠 산업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경남도민프로축구단 2022년 매출액
1. 축구 및 그 외 각종 스포츠 흥행 및 중개사업
2. 국제스포츠 교류사업
3. 티브이방송, 잡지, 출판물, 캐릭터 상품의 기획, 제작에 따른 판매
4. 선수 매니지먼트 사업
5. 경기장 마케팅 사업
6 .중계권 판매사업
7. 광고판매, 프로모션 및 이벤트 사업
8. 운동용품 및 일용잡화 판매사업
9. 축구 및 기타 스포트 선수의 육성 ·지도, 시설 및 단체 경영과 위탁관리
10. 기타 위의 각호에 부대되는 사업
'기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덕바이오 기업정보와 매출액 (0) | 2023.04.03 |
---|---|
경남도민프로축구단 2022년 평균 연봉 (0) | 2023.04.02 |
LB인베스트먼트 2022년 평균 연봉 (0) | 2023.04.02 |
LB인베스트먼트 주가전망 및 첫상장, 기업정보 (0) | 2023.04.02 |
에스엠 2022년 배당금 정보 (0) | 2023.04.01 |